카테고리 없음

식물등은 한달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까요?

갓마요 2023. 2. 4. 22:36
320x100
반응형


식물을 키우는 데는 햇빛이 매우 중요하죠.
그런데 식물을 실내에서 키우다보니 적정량의 햇빛을 보여주지 못해요.

그래서 요새는 많은 식집사들이 식물등의 도움을 받죠.

실제로 사용해 본 결과, 햇빛만큼은 아니어도 식물등이 식물의 성장에 꽤 도움이 된답니다.

http://ccongyjmom.tistory.com/34

식물등 vs 햇빛으로 키운 제라늄 비교

제라늄 포터하임 딱 1년 전 요만했던 포터하임. 이건 1월 12일 대략 보름전의 포터하임인데... 이때는 식물등 없이 베란다 선반 뒤쪽에서 키웠습니다. 오늘의 포터하임!! 물듬이 확 달라졌죠? 창가

ccongyjmom.tistory.com



그런데 말입니다.
요새 전기세가 말도 않게 올랐단 말이죠.

사실 베란다 전부에 식물등을 설치하고 싶은 식집사 맘이지만... 또 그게 전기세를 생각하면 쉽지않거든요.

풍문으로는 식물등 한개에 한달 1,000원 정도 나온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계산해봤습니다.


퓨쳐그린 식물등 13w

소비전력 13w인 퓨쳐그린 식물등입니다.
대략 대부분의 식물등이 13~17w 정도 되는 걸로 알고있어요.

식물등 하나에 15w, 하루 14시간 가동(저는 아침 7시부터 밤 11시 까지 켭니다🤣), 한달사용하면?

15×14×30=6300w=6.3Kw (한개당 한달 사용량)

그런데 식물등이 한개가 아니죠.
저는 대략 식물등 11개 식물바 4칸정도를 쓰고 있으니 15개의 식물등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6.3×15=94.5Kw 대략 95Kw를 쓰네요;; 맙소사.


이제 실제 한달 전기세가 얼마나 나오나 볼까요?


다음 검색

이렇게 다음에 한전 전기요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제가 사용한 량으로 미리 계산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여기 이렇게 간편요금계산을 클릭


해당사항 체크
올해 전기세가 인상됐으므로 23년 2월 기준 요금계산

실제 요금과 차이날 수 있습니다.



식물등 15개
  하루 14시간을 틀면 한달 전기요금이 요번 인상 기준 약 14,630원이 나옵니다.
대략 1개당 1,000원이 나온다는 말이 사실이네요.

이건 누진세가 적용되지 않았으니 참고하시고요.


300Kw
400Kw
600Kw


역시 300Kw를 넘기면 엄청나지는군요 💦

하지만 저희집은 벌써 넘기고 있으니..
그냥 맘편히? 식물등을 쓰겠습니다.

제라늄 하나 잘키워서? 당근해서 전기세 벌랍니다🤣🤣🤣


전기세로 키우는 열대관엽들
전기세로 키우는 제라늄 웨딩피코티

이정도면 전기세 쓸만하죠?🤭

728x90
반응형